NaverMap SDK SPM 만들기
우리는 지도를 사용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만들기로 했는데 여기서 Apple의 Mapkit과 NaverMap을 고민했다.
처음에는 외부 라이브러리 금지라는 요구사항이 있어 Mapkit을 사용하려고 했으나
네이버 클라우드의 크레딧을 활용할 수 있었기에 네이버 지도의 다양한 유료 API들을 사용해보고자
네이버 지도를 사용하기로 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했는데 우리는 Tuist를 사용하여 프로젝트 셋팅을 했기에 SPM으로만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었는데 NaverMapSDK는 CococaPods만 지원해주었다…
Tuist에 CocoaPods를 사용할 수는 있었지만 그렇게 되면 프로젝트 파일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직접 패키지로 만들어 SPM으로 추가해주기로 했다.
[Swift] NaverMap SDK iOS SPM 만들기
[Swift] NaverMap SDK iOS SPM 만들기
NaverMap SDK SPM 왜 지원안해줌 ? 프로젝트에서 mapKit대신 navermap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는데 Tuist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모둘화를 하게되어 cocoapods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런데 naverMap SDK는 co
junbok97.tistory.com
팀원 코드 이해하기
전체적인 프로젝트를 관리는 현업 경험이 있는 A가 했다.
A는 자주 사용하는 네트워크 세팅과 기본적인 디자인이 들어간 UI등을 추가해주었는데
나와 B는 처음 보는 방식이여서 코드를 이해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렸다.
이해하기는 어려웠지만 한번 이해를 하고 나니 금방 적용할 수 있었다.
A의 노하우가 그대로 녹아있어서 코드를 읽기만 해도 실력이 많이 향상되었다.
나는 생각하지 못한 방법들이였었는데 정말 좋은 방법이라는것을 금방 깨닫게 되었고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특히 네트워크 부분은 정말 많이 배웠다.
RIBs 적응기
RIBs를 이번 프로젝트에서 처음 적용해보는데 생각한 것보다 어렵지 않았다.
템플릿이 정해져 있어서 UI부분과 비지니스 로직부분이 확실하게 나눠져있기에
다른 팀원들의 코드를 읽는 것도 어렵지 않았다.
화면을 재사용 할 수 있고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했지만
밴대로 하나의 UI를 만들려고 하면 4가지나 되는 Swift파일을 만들기때문에
화면이 추가될때마다 너무나 많은 파일들이 생겨나 폴더 구조가 점점 복잡해져가는 것이 단점이였다.
그럼에도 각각의 역할분리가 확실했기에 아직까진 단점보다 장점이 더 크게 다가왔다.
[2주차 개인 회고] 이준복
[2주차 개인 회고] 이준복
🔥 여러분이 머문 자리에 따뜻한 온기를 남겨보세요 - 위치기반 SNS 서비스. Contribute to boostcampwm2023/iOS04-HeatPick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